매달 빠져나가는 월세, 부담되시죠?
하지만 ‘청년 매입임대주택’이라는 제도를 알고 있다면 월세 걱정을 줄일 수 있습니다.
많은 청년들이 놓치고 있는 숨은 주거 지원 정책, 이 글에서는 청년 매입임대주택이란 무엇인지, 누가 신청할 수 있고 어떤 혜택이 있는지 핵심만 정리해드립니다.
📌 청년 매입임대주택 요약정리
- 신청 대상: 만 19~39세 무주택 청년
- 소득 기준: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100% 이하
- 자산 기준: 총 자산 3.45억 원 이하, 차량 3,708만 원 이하
- 주택 형태: 전용 60㎡ 이하 원룸·소형 다세대
- 보증금/월세: 보증금 100~300만 원 / 월세 5~15만 원 수준
- 거주 기간: 최대 6년
- 신청처: LH청약센터
1. 청년 매입임대주택이란?
청년 매입임대주택은 한국토지주택공사(LH)나 지방공사가 기존 주택을 매입한 후, 만 19~39세 청년에게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임대해주는 정책입니다.
단기적인 주거 안정이 필요한 청년들에게 최대 6년간 거주 가능한 주택을 제공하며, 대부분 원룸 또는 1인 가구 형태의 소형 주택입니다.
2.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?
아래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신청할 수 있습니다.
- 연령: 만 19세 이상 ~ 39세 이하
- 무주택자 (본인 및 가구원 모두 해당)
- 소득 조건: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100% 이하
- 자산 기준: 총 자산 3.25억 원 이하, 자동차 3557만 원 이하
1인 청년가구부터 사회초년생, 취업준비생까지 대부분 지원 대상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.
3. 어떤 주택에 살게 되나요?
LH 또는 지방공사가 매입한 원룸형 또는 소형 다세대주택이 대상입니다.
- 전용면적 60㎡ 이하
- 학교, 직장 접근성이 좋은 지역 중심
- 기본 주방·화장실·에어컨 등 설치된 경우 많음
입주 전 현장 확인 및 계약 절차는 필수이며, 주거환경은 지역별로 다를 수 있습니다.
4. 월 임대료와 보증금은 얼마나?
시세의 30% 수준으로 매우 저렴합니다.
- 보증금: 약 100만~300만 원 내외
- 월세: 5만~15만 원 수준
관리비 포함 여부는 주택마다 다르며, 실제 금액은 지역 및 주택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5. 신청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?
공고는 LH 청약센터 또는 각 지방공사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- ① LH청약센터 접속
- ② ‘청년 매입임대’ 검색
- ③ 거주 지역 선택 → 모집공고 확인
- ④ 온라인 신청서 작성 및 서류 제출
📌 2025년 상반기 접수 일정은 지역별로 상이하니, 주기적인 확인이 필요합니다.
6. 자주 묻는 질문 모음
Q. 재직 중이거나 소득이 조금 있으면 탈락하나요?
→ 아닙니다.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100% 이하 기준만 충족하면 가능합니다.
Q. 현재 부모님 집에 살고 있어도 신청 가능한가요?
→ 가능합니다. 단, 무주택 세대원 요건은 유지해야 합니다.
Q. 혼자 살고 있어도 신청할 수 있나요?
→ 1인 가구 청년도 지원 대상입니다.
7. 마무리 안내
청년 매입임대주택은 놓치기 쉬운 숨은 복지정책입니다.
조용히 올라오는 공고지만, 조건만 맞는다면 월세 부담을 확 낮출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.
지금 이 글을 읽은 여러분, ‘지금은 아니더라도 언젠가는 나도 가능하겠다’는 마음으로 LH 청약센터를 즐겨찾기 해두세요. 내 집 마련 전, 청년 임대주택도 하나의 전략입니다!